기타
동물실험 금지, 올바른 반려문화 형성 등
모든 생명과의 조화로운 공존을 위해
- 2025.09.19
가장 효과적인 쥐 방제법은 무엇일까요? 아마 많은 분들이 끈끈이 덫을 떠올리실 겁니다. 실제로 끈끈이 덫은 값싸고 설치가 쉬워 집·식당·축사 등에서 흔히 쓰입니다. 강력한 접착제로 쥐를 붙잡는 이 도구는 겉보기엔 손쉬운 해결책처럼 보이지만, 그 뒤엔 잔인한 진실이 숨어 있습니다.
끈끈이 덫에 붙잡힌 쥐는 탈출을 시도하며 몸부림칩니다. 그럴수록 온몸은 더 깊게 달라붙고, 벗어나려 애쓰는 동안 피부와 털이 뜯겨나가고 뼈가 부러지기도 합니다. 그렇게 극심한 고통 속에서 서서히 죽음에 이릅니다.
쥐뿐만 아니라 반려동물과 동네고양이, 야생동물들까지 이 끈끈이 덫에 걸려 다치거나 목숨을 잃는 사고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충남야생동물구조센터에 따르면, 2021년을 제외하고 2020년부터 매년 20건 이상의 야생동물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공중보건 위험 또한 큰 문제입니다. 끈끈이 덫에 붙잡힌 쥐는 극심한 공포와 스트레스로 인해 지속적으로 분뇨를 배설하게 됩니다. 이 배설물은 신증후군출혈열(한타바이러스감염증), 렙토스피라증처럼 사람에게 옮을 수 있는 전염병을 퍼뜨릴 위험이 있습니다. 위생을 위해 설치한 도구가 오히려 공중보건을 위협하게 되는 셈입니다.
게다가 이렇게 위험하고 잔인하게 동물의 피해를 유발하는데도, 방제 효과마저 높지 않습니다. 쥐는 수염과 후각으로 새로운 사물을 탐색하는 습성이 있어 끈끈이 덫을 피해 다니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비윤리적·비효율적 도구임에도 불구하고 끈끈이 덫은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동물보호법은 동물에게 불필요한 고통을 주는 포획 방법을 금지하지만, 끈끈이 덫은 명확한 규제가 없어 사실상 사각지대에 놓여 있습니다. 반면 영국의 잉글랜드, 호주의 빅토리아주 등 여러 국가들은 끈끈이 덫 문제를 인식해 사용을 법적으로 금지하거나 제한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잔인하고 위험하며 비효율적인 끈끈이 덫. 이제는 동물복지와 공중보건을 지키는 지속가능한 방제 방식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그 대표적인 방법이 바로 생활환경을 개선하는 일입니다. 음식물 쓰레기는 잘 밀봉하고, 사료나 씨앗 등은 밀폐된 저장소에 보관해 먹이원을 차단합니다. 또한 건물의 출입문, 환기통, 배관 등 쥐가 드나드는 경로를 관리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런 환경 개선은 쥐의 개체수를 장기적으로 낮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쥐를 편리하게 없애는 일을 넘어, 생명을 존중하며 우리의 안전도 지킬 수는 없을까요? 동물자유연대는 이런 문제의식 속에서 ‘쥐 끈끈이 덫의 문제점과 규제 필요성’ 이슈리포트를 발간했습니다. 끈끈이 덫의 방제 효과를 비롯해 동물복지·공중보건 측면의 문제점, 국내외 법·사례와 대안까지 리포트에 담았으니, 다운로드하셔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 보세요!
📌리포트 다운로드: 쥐 끈끈이덫의 문제점과 규제 필요성
- 0
- |
- 7
- |
-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