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원회원게시판
동물자유연대가 꿈꾸는 '동물에게 더 나은 세상'
후원회원님들과 함께 만들어 갑니다.
반려동물복지사업비가 2억인데 급여가 5억???
- 강현아
- |
- 2015.05.15
직원이 많다면 그많큼 사업비가 커져야지 급여가
더 높게 지출되는 부분 설명좀 부탁드립니다.
지출 16억의 약 3분의 1이 급여인데 고작 사업비가 2억이라니 잘 납득이 안가네요.
동물을 위해 모인 단체로 알고있는데 먼가 전도된것 같습니다.
- 10
- |
- 1054
- |
- 37
조혜인 2015.06.10
급여가 5억, 사람이 26명이면 1사람 연봉이 2000만원도 안된다는 것인데 단체 하나를 유지하려면 최소한 그정도는 지출할 수 있어야 하는것 아닌가요. 거의 최저임금인데요... 초과근무한다면 최저임금도 안되죠. 이런 사업은 일단 사람이 많아야 합니다. 상근직원 한두명가지고는 택도 없는 일들이에요.
김영주 2015.05.24
글 쓰신분의 심정은 이해합니다. 저도 회계장부를 보고 급여항목이 제일 높아서 깜놀했으니까요. 아마 글쓰신분을 포함한 많은 회원여러분들이 무보수 자원봉사를 통해 동물들의 복지에 힘을 보태고 있기 때문이리라 생각이 됩니다. 하지만 자원봉사로 할수 있는 일에는 많은 한계가 있다는걸 아시리라 생각됩니다. 여기 상근직원분이 26명 정도이더군요, (조직도에 봄) 그럼 1인당 급여가 아주 낮아요.....많은 분들이 동물돌봄하시는 분들이구요..인건비도 다 동물자유연대의 동물복지 사업비입니다. 반려동물을 포함한 사업비죠. 응원해 주자구요. 적은 돈으로 힘든일을 훌륭하게 하시는 분들입니다. 투명하게 다 올리는 단체 그리 많지 않아요...
최아영 2015.05.22
그럼 이 많은 일들을 누가 하고 있다고 생각하시는지요? 사업에는 당연히 수행하는 사람이 필요합니다. 이 글을 쓰신 분, 동자연이 하고 있는 사업에 대해 생각해보셨는지 정말 궁금합니다. 센터운영, 동물구조 등 눈에 보이는 직접 복지사업과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인식개선의 캠페인 또한 진행하고 있습니다. 어떠한 사업은 물품과 같은 재정 중심의 사업이 될 것이고, 어떠한 사업은 재정보다 투입되는 인력이 중심이 되는 사업이 있습니다. 단순히 금액 적인 부분에서 잘못되었다는 생각은 굉장히 잘못되었다고 생각이 되네요. 많은 사람들이 동자연의 목적과 비전과 이들을 응원하고 있습니다. 조금 더 다양하게 생각해보시면 좋겠네요. 같은 회원으로써 마음도 안좋고 보기도 좋지 않네요.
장소영 2015.05.21
글을 썼다 지웠다 하고 있네요. 한마디 남기고픈데 다 중복되는 이야기인지라. 그런데 글쓰신 분께 궁금한 건.. 직원이 많다면. 이라 하셨는데 직원이 많으니 인건비가 많이 들어가는건 당연한거 아닌가요? 마치 제목만 보면 직원은 늘지 않고 인건비만 높게 책정된 그런 느낌입니다. 게다가 동물을 위한 단체 맞는데 동물복지에 반려동물만 있는게 아니지 않나요? 그리고 그 5억받는 직원들이 반려동물을 위한 모든 활동뿐아니라 동물원동물. 농장동물등 모든 동물들을 위한 일을 하고계시니 그 5억도 의혹이 있을것이 없는 것 같아요. 아무리 생각해도 어떤 의도이신지 뭐가 궁금하셔서 저렇게 밑도끝도 없는 글을 쓰신건지 이해가 잘 가지 않네요.
임나혜숙 2015.05.18
동물들을 위해 직원들이 하는 일을 모두 외부에 맡긴다면 사업비가 지금 인건비보다 몇배는 더 들거라고 생각합니다 아무 일 하지 않고 인건비 받는 건 아니잖아요
김남형 2015.05.18
나 자신도 잠깐의 시간할애가 어려우면서 동물단체면 무조건 해내라는 식의 구조요청들... 결국 동자련의 그 누군가, 사람의 힘이 필요한 것은 자명한 사실입니다. 동물농장만 봐도 하수구에 갇힌 아기 고양이 하나 구하기 위해 소방차, 소방관, 동네주민들, 동물단체, 방송국까지... 결국 사람이 나서야 그 생명 구하니 인건비는 당연한 것 아닐까요? 글내용과 상관없이 적극적으로 행동하지 못하고 후원회비 조금 내고 동자련에 죄다 책임전가하고 입으로만 동물사랑 외쳐대는 제 자신이 갑자기 부끄러워지네요...
이재은 2015.05.17
글쓴분께 분명한 의혹이 있고 반드시 고쳐져야할 문제이며 본인께서 그 의혹을 규명하고 잘못된 것을 고치겠다는 의지가 있으시다면 그저 돌을 던지듯 다른 분들이 상세한 팩트를 모르는 채 의문만 키울 수 있는 글을 올려 놓으실 게 아니라 책임자를 대면하여 확인을 하고 바로 잡을 게 있다면 그리 하시는 게 옳은 방법입니다.이런 식의 글은 대화를 하고 문제를 풀어가려는 게 아니라 그저 시비로 보일 수 있으니 그런 오해가 싫으시다면 스스로 더 나은 대화방법을 찾으셔야 합니다.
김은숙 2015.05.16
저는 동자연 회원이 된 지 이제 만 4 년이 되었습니다. 처음에는 단순히 유기동물 구조및 보호에 관심이 있어 매스컴에서 자주 언급되는 동물보호단체 중 하나인 동자연에 가입하여 간접적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하였습니다. 그러나 눈에 쉽게 띄는 유기견이나 길고양이 뿐만 아니라 동물 전반적으로 더욱 처절한 학대와 착취가 행해지고 있다는 사실을 접하면서 동물보호단체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닫게 되었습니다. 주변에서 흔히 발생하는 유기 동물 문제는 관심만 있다면 내가 스스로 단 몇 생명이라도 구할 수 있지만 농장동물 전시동물 실험동물들에게 가해지는 비인도적 처우문제는 개인의 힘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이는 한국 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 동물 보호 단체들을 존재하게 한 중요한 과제들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들을 누구보다도 해결할 수 있고 해결해야 할 책임이 있는 정부가 솔선수범을 안하고 있는 상황에서 몇 몇 개인의 목소리는 허공중에 맴도는 메아리에 불과할 뿐이죠. 해당 정부 기관은 물론이고 동자연 뿐만 아니라 국내 대규모 동물 보호단체는 메인페이지 주요활동란에 반련동물뿐만 아니라 위 세 분야에서의 활동 사항이 피알되고 있습니다. 동물을 대상으로 하지만 결국 인간들이 모여서 인간들이 해결할 문제이기 때문에 인건비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당연한 것이라 생각합니다. 사실 소신이 없다면 일반 직장과는 달리 얻어 낸 성과에 대해 승진이나 보너스와 같은 실질적인 보상도 없는 사회 단체에서 일하기 쉽지는 않을 것입니다. 생색내지 않고 묵묵히 학대받는 동물들을 구조하고 보살피는 대부분의 동물 활동가들이 이와 같은 문제가 언급됨으로써 상처를 받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류소영 2015.05.16
어제 ... 글쓰신 것을 보고 한참 망설였지만 한마디를 하겠습니다. 동자련이 처음 만들어질때 구조 전문단체가 아니고 시스템을 바꾸는데 주력하는 단체로 나가려한다는 말에 동자련을 선택햇습니다. 구호 구조는 동자련이 같이 안고가야할 사업의 한 부분이지 거기에 올인 하는건 저희의 의도가 아니거든요. . 가난한 사람에게 밥을 먹이는 일보다 가난한 사람도 스스로 힘으로 밥을 먹을 수 있게 해주는 나라가 바람직하듯이요.
이경미 2015.05.15
제목을 고쳐주시면 좋겠습니다. 비회원들이 제목만 본다면 동자련이 이상한 단체로 느낄까봐 걱정되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