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원회원게시판

동물자유연대가 꿈꾸는 '동물에게 더 나은 세상'
후원회원님들과 함께 만들어 갑니다.

[re] 길냥이 불임수술 (상담하고 싶어요.)

양미화님..아래에 kbs 환경 스패셜이 방영했던 야생 고양이에 관한 사항입니다. (환경스패셜을 인용하기도 해야 하는 상황이로군요. ^^; 취할 것은 취하고 적대적일때는 적대적이어야 겠죠)

일단은 양미화님이 이 방송을 다시보기로 한번 보세요, 그런다음에 아래 글을 프린트해서 돌리시면서 설득해보세요.

동물이 야생상태에서 살때는 스스로의 생태 조절능력이 강화되기 때문에 잡아서 죽이는 걸로 개체수 조절이 되는 것이 아닌, 오히려 다른 지역의 고양이들이 자기영역을 재구성하는 것으로 또 채워지기 때문에 최근 자치단체에서는 고양이를 불임 수술후 재방사하는 정책을 취하고 있다고 전해주세요,

그 예로, 과천은 아주 잘알려져 있지요. 그외에도 광주 등 대체로 요즘은 곧바로 죽이는 방법은 지양하는 추세입니다.

자신이 없으시면 관리사무실에 전화해드릴께요. 일단 시도해보세요. ^^ 홧팅!

2002년 7월 10일   담당 PD : 양홍선

## 인간에게 버려진 뒤 지나친 번식으로 생태계 교란 및 민원의 대상이
되고 있는 들고양이 !

환경부는 94년 들고양이를 유해조수로 지정하고 구제사업을 실시해
왔다.
하지만 들고양이 수는 줄지 않았고, 들고양이 문제는 여전히 사회문제로
남아 있다.

제작진은 6개월간 들고양이 생태를 관찰 , 딜레마에 빠진 들고양이
문제의 해결방안을 찾아보았다. ##

1. 척박한 도시환경 속 - 들고양이의 생태 전과정 공개

▶ 들고양이들의 치열한 먹이싸움과 긴장되는 영역싸움 현장
▶ 1인자를 위한 수컷들의 치열한 다툼 - 그 생생한 현장
▶ 암컷을 두고 벌이는 수컷들의 신경전과 교미현장 포착.
▶ 교미에서 해산까지 들고양이 생태 전과정 최초 공개!
▶ 들고양이 밀집지역인 서울 관악구 봉천동, 장기간 관찰.

- 텔리메트리시스템과 적외선 카메라 이용,
들고양이의 활동영역과 이동경로 추적

2. 들고양이 ,무엇이 문제인가?

▶ 애완 동물에서 \'애물단지\'로 전락한 들고양이들
- 들고양이 대부분은 인간에게 유기·방치된 고양이들이다
- 사계절 내내 짝짓기를 하는 왕성한 번식력
▶ 버려진 들고양이의 비참한 오늘
- 제작진의 눈에 띤 많은 수의 기형고양이 , 그 원인은 영양결핍
- 짝과 먹이를 찾아 도로를 횡단하다 교통사고 당한 들고양이들

3. 고양이 포획·살상, 바람직한 대안인가?

▶ 99년 영양군의 대규모 고양이 포획·제거
- 그리고 3년 뒤 , 고양이 개체수는 전혀 줄지 않았다

▶ 무조건적인 제거가 고양이 수 조절의 대안이 될 수 없는 이유
-\'진공효과\'
- 진공효과 ; 해당구역의 개체수를 줄이더라도 다른 곳에서
유입되어 다시 개체수가 늘어나는 것

4. 들고양이의 생태를 이용한 해결방안

들고양이 생태를 이용한 새로운 관리방안 - TNR
(Trap-Neuter-Release)
; TNR(포획-중성화-방생)은 들고양이의 영역을 갖는 특성을 이용한
효과적인 대안책이다.

▶ 동물 보호소에서 불임시술 뒤 방생한 들고양이들
- 들고양이의 순치 가능성 확인! 영역내 고양이 개체수 조절 가능
확인

▶ 무조건적인 제거보다는 체계적인 관리가 장기적으로 볼 때 더
효율적인 방안이다

<들고양이 생태의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관리가 계속될
때 인간과 들고양이간의 긍정적인 조화가 가능할 것이다 .

 * 이 방송을 보시려면 환경스패셜에 가셔서 \'다시보기\'에서 게시란 하단에 페이지수 10페이지를  클릭하시면 121번 게시물일겁니다.




댓글

양미화 2004.06.24

바쁘신데, 이렇게 긴글을 올려주신 대표님께 감사드립니다.


양미화 2004.06.24

제가 복합기가 없어서 인쇄가 불가능해서 노트에 적었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구요. 저도 내일 힘내서 잘 하고 오겠습니다.^^


후원 입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