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군요...역시 오래 논란이 있었는데도 잔재하는걸보면 근본적인 법적 사각지대와 자본주의에 따른 수요와 공급곡선의 지점때문이군요. 저도 최대한 노력해봐야겠습니다. 단체의 노력에 감사합니다.
강재원
2025.07.30
안녕하세요. 동물자유연대입니다. 먼저 위기에 처한 동물을 외면하지 않으시고 제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부천 아쿠아리움의 동물 관리 문제는 오래 전부터 제기되어 왔으며 단체에서도 인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부천 아쿠아리움은 동물원수족관법에 따라 동물원으로 허가를 받았으며, '동물보호법' 및 '야생생물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명확한 동물학대가 발생하지 않는 한 제제를 가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입니다. 세금으로 운영되는 공공 동물원의 경우 반드시 법 위반 사항이 발견되지 않더라도 공공기관의 생명에 대한 윤리적 책임 문제로 공론화를 통해 개선이 가능할 확률이 높으나, 사기업의 경우 법 위반 사항만 발견되지 않으면 해당 기업에서 여론을 무시하고 운영하더라도 다른 방법을 찾기가 어렵습니다. 동물자유연대는 법 개선 등을 통해 동물원에서 전시되고 있는 동물들이 좀 더 나은 환경에서 살아갈 수 있는 토대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김소연 2025.07.31
그렇군요...역시 오래 논란이 있었는데도 잔재하는걸보면 근본적인 법적 사각지대와 자본주의에 따른 수요와 공급곡선의 지점때문이군요. 저도 최대한 노력해봐야겠습니다. 단체의 노력에 감사합니다.
강재원 2025.07.30
안녕하세요. 동물자유연대입니다. 먼저 위기에 처한 동물을 외면하지 않으시고 제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부천 아쿠아리움의 동물 관리 문제는 오래 전부터 제기되어 왔으며 단체에서도 인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부천 아쿠아리움은 동물원수족관법에 따라 동물원으로 허가를 받았으며, '동물보호법' 및 '야생생물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명확한 동물학대가 발생하지 않는 한 제제를 가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입니다. 세금으로 운영되는 공공 동물원의 경우 반드시 법 위반 사항이 발견되지 않더라도 공공기관의 생명에 대한 윤리적 책임 문제로 공론화를 통해 개선이 가능할 확률이 높으나, 사기업의 경우 법 위반 사항만 발견되지 않으면 해당 기업에서 여론을 무시하고 운영하더라도 다른 방법을 찾기가 어렵습니다. 동물자유연대는 법 개선 등을 통해 동물원에서 전시되고 있는 동물들이 좀 더 나은 환경에서 살아갈 수 있는 토대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