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원회원게시판

동물자유연대가 꿈꾸는 '동물에게 더 나은 세상'
후원회원님들과 함께 만들어 갑니다.

글쓰기
길고양이 급식관련

안녕하세요.
혹시 길고양이 관련 법령은 우리나라에 없는건가요? 그냥 동물보호법 안에 포함인지..
제가 외국생활 오래해서.. 조언좀 구합니다.
 
제가 잠시 일했던 학교서 이전에 선생님들이 밥을 주고 계셨어요, 올해 전근가시고 엎친데 덮친격, 교장선생님까지 바뀌셔서. 학교 밖에 밥주라고 공지했나봐요.
학교 근처는 아파트 촌이고 밥줄 수 있는 마땅한 장소가 없어요..
밥만 먹고 가는 아이들이고 고정적으로 밥먹는 아이들은 6마리 정도 꾸준히 오고 있구요. 학교에 그다지 피해줄 일도 없고 워낙 겁이 많은 애들이라 저 빼고는 사람소리만 나도 도망가는데..
 
어제는 임신묘 한마리가 갑자기 새끼를 6마리나 낳아버렸다고 학생이 다급히 전화를 했는데. 밤 늦게 도착해보니 새끼들이 화단 길가 여기저기 널부러져서... 어미는 미처 새끼 낳을 곳으로도 이동 못했는지 학교 앞에 덩그러니 숨을 헐떡거리며..눈물이 날만큼 안쓰러웠어요..
 
물론 학교의 입장도 어느정도 이해는 가지만. 그래도 생명인데 눈앞에 널부러진 새끼들을 그저 방치하고 상자하나 내어주지 않는태도에 정말 화가 나더군요..
 
아이들은 다행히 새끼 1마리를 제외하고 여건이 되는 학생 집에 어미와 함께 임시보호를 했습니다. 비록 2주안에 모두 입양을 보내야 하지만요.. 입양 후 어미는 어떻게 해야할지도 고민입니다. 중성화를 해서 다시 학교근처에 돌려보내야 하는지. 입양처가 구해지면 너무도 다행일테지만요..
 
제가 여쭤보고 싶은 부분은 학교 안의 고양이를 무력으로 내쫒을 것 같은 생각도 들고 갑자기 하루아침 아이들 밥을 치워 버려야 한다면 고양이들에게 해줄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무얼지..
남양주 쪽은 길고양이를 도울때 고려해야 할 부분이 있는지.. 학교에서 밥 주는 걸 반대한다면 제가 반박이나 이해를 구할 어떤 법령도 없는것인지요.
교장 선생님을 찾아갈까.. 제보를 해볼까.. 여러가지 생각이지만 한국의 실정을 잘 모르고. 보호법 또한 찾아봐도 정확히 나와있는 부분도 없고해서요..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댓글

박경화 2014.09.25

학교에서는 교장선생님과 행정실장님이 어떤 마인드이냐에 따라 길냥이에 대한 태도가 다를 거에요. 대체로... 여기까지 올라가신 분들의 마인드가 이해받기 어려운 부분이 있을거에요. 다만 제가 다른 학교에서 있었던 일화가 있다면 학교에 사육장에 있었는데, 그 학교 학부모 중에 동물단체 회원이 있었고, 주변 엄마들과 힘을 합쳐서 사육장 시설면이나 기타 등등 관리에 대해서 민원을 넣었죠. 그래서 그 학교는 결국 사육장을 없애기로 했지만 다리를 다친 토끼를 돈을 주고 치료했을 정도로 민원의 힘이 컸어요. 필요하다면 생명존중 받는 모습이 학생들의 인성에 도움이 된다며, 강제로 고양이들이 쫓겨나거나 해를 가하면 학생들에게 얼마나 안 좋은 영향일 갈지 학부모들의 힘을 좀 받아서 얘기하시는 편이 효과적일거에요.


이혜승 2014.09.24

빠른답변 너무 감사합니다. 번호변경을 하지 않았아봅니다. 죄송해요. 조언해주신 방향으로 노력해보고 어렵다고 판단되면 도움 청하겠습니다~ 반대하는 주체는 처음엔 관리소였다가 학교측까지 나선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동물자유연대 2014.09.24

안녕하세요, 이혜승님. 채희경 활동가라고 합니다. 길고양이 밥주는 문제로 고민이 많으시겠네요. 안타깝게도 현재 동물보호법에는 길고양이와 관련하여 학대를 하는 경우를 제외한다면 중성화 수술에 관련된 조항 외 밥을 주는 문제에 대해서는 별도 조항이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길고양이에게 밥을 주는 많은 분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더라도 해결책을 찾기가 쉽지 않은 것도 사실입니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주택가에서 밥을 주는 경우에 반대하는 주민들이 있다면 지자체 담당자와 상의 하여 좋은 방법을 찾는 쪽으로 중재를 하지만 학교의 경우에는 반대하는 주체가 관리소인지 학교 차원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할 듯 합니다. 만일 특별한 사유없이 반대한다면 학교측과 얘기를 나눠 보시고 장소와 시간에 대해 제한적으로라도 밥을 줄 수 있도록 설득 해 보세요. 대화가 어려울 경우 단체에서 연락을 하여 학교 측의 의견을 듣고 방법을 찾도록 하겠습니다. 회원 정보의 전화 번호가 정확치 않아 연결이 어려우니 자세한 말씀은 02-2292-6337로 전화 주셔서 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후원 입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