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원회원게시판
동물자유연대가 꿈꾸는 '동물에게 더 나은 세상'
후원회원님들과 함께 만들어 갑니다.
- 조희경
- |
- 2003.12.26
고견 감사합니다.
중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서로간 의견개진하며 정리하는 것은 바람직한 현상이겠지요. 아울러 모든 견해에는 상대적인 반론이라는 것이 존재하지요. 저 역시 이수산님의 글에 대해 그렇습니다만, 여기에서 누구 말 맞다나 \'길게 붙잡고 늘어지지\' 않겠습니다. ^^;; 그럴만한 여력이 없기도 하지만 처음 의도와 다르게 간혹은 이해 차이로 해명하는데 급급하기도하고 그게 좁혀지지 않으면 아예 체념하고마는 불행한 사태를 겪다보니... 상대방의 말에 주의를 기울이고 이해하려는 자세가 지금은 더 중요한 것 같습니다.(이런 말은 제가 치고 빠지는 것 같아 궁색합니다만..^^;)
다만, 몇가지..
1. 제가 언급한 \'살아서의 학대받는 동물의 문제\'에 중점한다는 것을 개고기문제와 분리해서 생각한다는 견해같으신데 제가 말한 의도와는 다르게 받아지신 것 같습니다. \'살아서의 학대받는 동물의 문제\'에 포함되는않는 동물 이슈가 어디있을런지요...
2. 용어 면으로 봤을때 \'애완동물\'의 용어는 지금 그 자체가 문제는 아니라고 봅니다. 이것은 반려동물로 바꿀 수 있는 문제이고 이미 농림부가 긍정적인 반응과 아울러 그 부분에 대한 전면 검토를 할수도 있는 문제니까요. 제가 미리 던져본 마지막 카드가 파장이 넘 컸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앞으론 신중하겠습니다.. (--)(__)(--)
3. 그리고 이것은 제가 이수산님의 글 내용이 정리가 안되어서 여쭙는 것인데요,
애견산업의 통제 및 관리를 \'동물의 유통 판매 서비스\'로 추가한다 할지라도 그 대상동물에 개가 들어갈 수 밖에 없을 것 같은데요(우리나라 법이 법 적용 대상을 구체적으로 명시하거든요. 예를들면 가축의 종류를 구체적으로 명시하듯이요)
그렇다면 이수산님께서 말씀하신 \'그리고 만일 \'애완동물’을 모든 개와 고양이로 한다 라고 바꾼다면 이는 더 큰 문제를 초래하게 됩니다. 왜냐하면 개를 어떠한 용도로 사육하던지 농림부 개정초안에서의 제5조의 1(애완동물판매업)과 같은 조항의 규제를 받게 될 것이고, 이는 결국 개고기 사육업과 판매업을 합법화하는 것과 마찬가지가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로부터 어떻게 자유로워지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이왕이면 포괄적인 개념을 좁혀서(머리가 딸려서인지 너무 막연하게만 느껴집니다. ^^;;) 애견 산업의 통제 및 관리를 구체적으로 어찌 법문화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인지 명문화시키는 수고를 해주시면 바람직한 방향으로의 정리에 더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고견 부탁합니다.
- 0
- |
- 101
- |
- 2